국내.외여행

의릉과 천장산 답사(16.03.03)

소불 笑佛 2016. 3. 8. 02:28

 

신이문역에서 바라본 천장산.

보이는 가까운 앞쪽 북동쪽에 석관동 의릉이 있고,

천장산 뒷쪽 산너머 남서쪽으로

KIST 와 홍릉 국립산림과학원, 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관이 있다.

 

신이문역에서 700m  거리에 의릉이 있다.

 

 역앞의 소문난집.

 

 

 

 이곳 주인공 두분 모두

본인 의사와는 관계없이

세월에 떠밀려 기구한 인생을 살다 요절 하셨으니 - - - -쩝.

 

 

 조선왕릉은 한양도성 100리 내에 40기가 잘 보존 관리되고 있어,

2009년 우리나라에서 9번째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1.석굴암/불국사, 2.해인사 팔만대장경 판전, 3.종묘, 4.창덕궁, 5.수원화성,

6.경주역사유적지구, 7.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 8.제주용암동굴)

 

 

 

 

 

 

 

 

 

 

 

 

 

 

 

 

 

 왕의 묘에는 곡장(담장)이 있고,

 

왕후의 묘에는 곡장(담장)이 없다.

 

천장산 산책로 안내도.

 

 

옛날 중앙정보부 울타리로 보이는 풴스. 

 

 

 

해발 140m 의 천장산 정상.

 

 

정상에서 아래로

경희대 평화의 전당 건물이 보인다.

 

 

남북 대결에서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점이 되었던 7.4남북 공동성명.

 

 

중요한 역사의 현장이 맞다.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92호 로 등록.

 

의릉 옆에는 옛 중앙정보부 건물들이 많이 있었는데,

이전후 철거/복원하여 옛 모습을 거의 찾았으나, 

아직은 다른 능에 비하면 수목 등이 좀 어수선한 느낌이다.

 

2008모습. 

 

2010모습.

 

2013이후

 

의릉 답사끝.

다음 답사지 경희대 (연화사/회묘지)쪽으로. 

 

여기는 외국어대.

이동하는중에 들렸는데, 신입생들이 복잡복잡.

외국어대 스텐조형 정문은 특색이 없어보인다.

 

 

 

이곳은 경희대.

▽정문(등용문)

 

 

▽경희 의료원.

1971년에 개원하였다.

 

 

▽본관(대학원)

 

▽본관건물은 1956년에 준공했다하니,

당시 기술과 재력으로는 대단한 건축물이다.

2015년 서울시 등록 문화재로 지정될 정도로 가치가 인정되는 건물이다.

 

고대 그리스 신전형태의 코린트형식을 적용한 석조건물로

 단순한 형태와 힘찬선으로 웅장함과 견고함을 내포한  남성적 미를 갖추었다.

조영식 초대총장이 직접 설계하였다고 한다. 

 

 

 

 

 

 

▽평화의 전당

개교 50주년을 기념하여 1999년 준공하였으며,

1976년 6월 착공하여 23년이지난 1999년10.11일 개관하였다. 

중세 고딕양식의 본 건물은 스테인드글라스와 화강석 조각으로 치장하였다. 

 

▽평화의 전당은

동양최대의 단일공연장으로 4,500석의 대형 문화공간이다.

회전/좌우 이동식 무대장치와 음향/조명등 최고 수준급 시설이다.

 

 

▽중앙도서관/중앙박물관.

1968년 완공한 건물이며,

중앙도서관 건물 4층에  중앙 박물관이 배치되어있다.

 

 

 

▽연화사

▽연화사는 중종때 창건한 500년 이상된 고찰이다.

 

▽ 인수대비의 아들인 조선 9대왕 성종의 계비 윤씨가 폐비되어 28세에 사약을 받고 죽으니,

처음 경기 장단면에 매장 했다가

성종19년 회기동 현 경희의료원자리로 이장하고, 윤씨지묘라 명한다.

 

이때  상궁들이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사찰로 연화사를 지은것이다.

 

연산군 즉위후 금삼의피 사건으로 1504년 갑자사화 발생.

 그후 제헌왕후로 추존하고 회묘->회릉으로 명명.(회기동의 연원이됨)

 

1506년 중종반정후 다시 추존을 취소하고 회묘로 강등.

 

1969년 경희대 캠퍼스 자리에서 서삼능 경내로 이전한다.

 

그래서 지금 서삼능내의 회묘는 조선초기 능의 규모를 갖추고 있다. 

 

회묘의 주인공 윤씨, 살아서도 죽어서도 편안한 팔자는 아닌 인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