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여행

대고려전(大高麗展) 국립중앙박물관-기획전

소불 笑佛 2019. 1. 6. 00:58




전세계에 흩어져있는

고려유물을 한자리에 모았다.

100년에 한번 있을 기회이다.

대한민국, 미국, 일본, 영국, 이탈리아 등 5개국

46개 기관이 450여점을 출연하여 전시.











--------------------------------------------

청자 상감 운학국화문(靑磁 象嵌 雲鶴菊花文)피리,

메로폴리탄 박물관 소장. 대여 전시.

높이 36.5cm,13세기초의 의례용 피리로 보임.

취구파손 부분을 금으로 수리한 흔적,

2008년 메트로폴리탄 박물관(Metropolitan Museum) 구입,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넘어간 경로는 알 수 없음.




건칠목조좌상으로 가장 오래된 인물상.

나무와 삼베옷칠 등으로 혼용제작.





희랑대사상과 같은 시대 같은 기법의

왕건 목조좌상은 북한에 있는데,

대여 전시 노력을 하고 자리까지 비워두었는데,

아직 그자리는 비어있다.






 "은제 금도금주자와 받침(銀製 金鍍金 注子 承盤)" 고려 12세기,

 보스턴박물관 소장품,

고려의 금속공예 우수성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전시품.

크기는 높이가 20센티내외 작은 작품.


"표주박형 물병"

티켓에 나와있는 대표적 전시품,

정교한 소형 금속공예품.

안으로 공구를 넣어 두드려 만든 작품.


"표주박형 물병과 받침"

화려함이 돋보이는 금속공예품.


"은제 금장장식도"


"청자 기린장식 향로(靑磁 麒麟蓋 香爐)",

고려 12세기 , 개인 소장품.


 "유리주자(注子)"

이슬람 의식에서 쓰이는 형태로 추정되며,

개성부근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고려 현종때 많은 아라비아인들이 3차례 방문한 기록과

귀화한 무슬림이 고위관직을 역임한 기록도 전하고 있다,


오른쪽   "청자 주자와 받침(靑磁 注子-承盤)"


고려 12세기, 개성부근 출토,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왼쪽  "청자 연꽃 넝쿨무늬 주자"

고려 12세기, 1981년 이홍근 기증품,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95호 "청자 칠보무늬 향로" .

 12세기 고려시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공예기술이 돋보이는  개성인근 출토의 우수한 우리 문화유산.


국보 제61호 "청자 어룡모양 주자(靑磁魚龍形注子)"

또는 "청자비룡형주자(靑磁飛龍形注子)"

  몸지름 13.5㎝, 밑지름 10.3㎝

고려시대 12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60호 "청자 사자장식 향로"

고려 12세기경,  높이 21.2cm, 지름 16.3cm의 크기,

중국 송나라 문신 서긍(徐兢)이 고려를 방문하고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 극찬한 작품.



 "청자 금채 봉황무늬 받침대".

13세기 고려 청자(靑瓷).

영국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 소장. 대여전시중



1번작품 =  "동자모양 연적(童子形硯滴)" 고려의 12세기초 작품,

11cm 작은 연적이며 눈동자와 머리에 찍은 철채나 음각 등 세부 장식은 매우 정교,

2번작품 = "청자 사자장식 베개(靑磁獅子形枕)" 고려 12세기

1, 2번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3번작품 =  청자구형 연적 (靑磁龜形 硯滴),

높이 6.1cm, 길이 9.8cm의 크기로 개성 인근에서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청자 동채 모란 넝쿨무늬완" 고려 13세기 작품, 

영국 박물관 소장품.

녹색을 띠는 회청색의 청자 바탕에

붉은색이 보색의 관계를 갖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를 위한것으로 동채(銅彩)청자 라고도 함.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

안동 태사묘 소장의 보물 제451-1호 "개국공신에게 하사한 잔과 잔받침".

고려 태조 왕건이 안동에서 후백제의 견훤을 토벌할 때, 활약한 공로로,

대광태사란 벼슬을 받은 권행(權幸), 김선평(金宣平), 장정필(張貞弼)

3인의 위패가 있는 사당인 태사묘의 유물중 하나.

주칠탁잔(朱漆托盞)이라 불리며 대(臺)와 잔(盞) 2부분으로 되어 있고,

대(臺)의 높이는 5.5㎝ , 둘레는 지름 14㎝,

 잔은 지름 13.5㎝, 높이 4.5cm.


 "청자 양각 도철문 향로(靑磁陽刻饕餮文香爐)".

 고려 12세기 개성부근 출토,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상나라(商, 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46년경) 후기의 문양을 모방하여 만든 청자 향로.



------------------------

수월관음도.

영국박물관 소장,  대여전시.


둔황 천불동에서 발견된 것으로

영국학자가 헐값에 사가지고 갔단다. 



영국박물관 소장  수월관음도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 수월관음도



아모레 미술관 소장품.



----------------------------------------


가정용/ 휴대용 불단.


휴대용 경전


불감

고려, 14세기.





개경의 왕릉 유물


충남 태안의 대섬 인근의 해역에서 인양된 도자기.

전남 강진을 출항하여 개경으로 향하던 배에,

 다양한 도자기와 목간, 선상 생활용품 등 2만여점이 발견,

운송 물품의 품목이 적힌 목간(木簡)이 단서가 됨.







경패 = 경전 내용을 알 수 있는 색인표.



"고려 대장경 초판본" = 초조대장경



해인사 대장경 원판 일부 - 글씨로 된 부분


대장경 일부 - 그림으로 된 부분.


건칠불

 삼베나 모시옷에 여러번 옷칠하여 만든 불상.




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




'아미타삼존불"

지장보살- 아미타불 - 관음보살




"목조관음보살좌상"

12-13세기, 높이 54cm, 영국박물관 소장.


"목조세지보살좌상"

12-13세기,  높이 43.5cm,   빅토리아&앨버트박물관 소장.



"육마도권" 부분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



"시왕도"

14세기, 비단채색, 86cm *51cm

일본 나라국립박물관 소장.

( 10오도전륜왕,  7태산왕, 5염라대왕 )


-----------------------------------------------

에필로그 = 맺음말



해설사 따라다니며 들어도

한시간은 족히 걸린다.

찬찬히 볼려면 3시간정도 보아야 할것.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