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 박물관
허준 박물관은
강서구 가양동에 있다.
1999년 부터 건립을 구상하여
2003년 착공하고
▼ 2005년 3월 23일 개관 하였다.
▼ 박물관 입구는 언덕을 올라 2층 선상에 있다. 1층은 주차장 레벨.
▼ 입구를 들어서면 깔끔하고 시원한 로비를 만난다.
▼ 로비 천정은 한약봉지 달아맨 형상으로 하였고
소리 울림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로 제작하엿다.
▼ 나이 지긋한 해설사로 부터 상세한 설명을 듣고 - - - .
▼ 허준 공인 초상화.
▼ 3층 허준 기념관 전시실 입구.
전시실은 허준기념실 / 약초 약재실 / 의약기기실 / 내의원 한의원실 / 체험공간 등으로 구성됨.
▼ 허준 연표.
서자로 태어나서 양평군이란 군호까지 받았으니
승진 가능한 최고의 벼슬을 한것이다.
32세에 내의원에 최초로 천거됨.
2년만에 종4품, 36세인 4년만에 종3품이 되는 초고속 승진.
다른 기록에는 허준이 과거시험 종류중 잡과인 의료인 시험에 응시하여
29세에 장원급제한 것으로 기록.
▼ 전시물중
측인 명당도
▼ 내경도
허준과 동의보감
▼ 1597년 허준 나이 60세에
선조로부터 동의보감 편찬 지시를 받고
14년 동안 500여권의 의학서적을 참고하여
동양의학의 백과사전격인 동의보감 25책을 완성함.
▼ 동의보감 출판 장면.
동의보감은 3,127면에 달하며,
1,367종의 약재를 다루고,
4,000건의 처방을 기록했다.
이렇게 종합적이고 방대한 기록물은
중국이나 일본에도 없는 기록물로서
▼ 2009년 7월 31일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조선 왕조실록, 훈민정음,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대장경판, 조선왕조의괴에 이어
7번째 기록유산으로 등재.
(그후도 4건의 기록유산 등재 일성록/5.18기록/난중일기/새마을운동기록)
중국과 일본은 자국어로 번역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영어 번역본은 아직 - - -
▼ 동의보감 25권의 일부 모습.
▼ 동의보감은 상/하 2권과
1. 내경편 4권 (정/기/신/혈, 5장6부, 음/액/담, 대소변 등)
2. 외형편 4권 (외과- 머리부터 발끗까지)
3. 잡병론 11권 ( 특수상황 질병류, 특정 연령대 등)
4. 탕액편 3권 (약재, 약물, 방법 등)
5. 침구편 1권 (침구원리, 보사법, 12경맥/기경팔맥 등)
총 25권으로 구성됨.
▼ 전시실 내부 약초방 전경
▼곡식이 약재인 종류
▼풀이 약재인 종류
▼ 과일이 약재인 종류
▼ 전시실 내부 의약기기 종류 및 용도.
▼조선시대 의료기관
▼ 내의원 구조.
▼ 한의원 구조
▼ 양천현의 옛날 모습.
지금은 야산을 깎아 평지를 만들고 아파트 단지가 되어
옛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 소요정
양천현 탑산 기슭 강가 언덕위에 옛날에 있었던 정자를 복원하여
박물관 뒷쪽에 세워 놓았다.
▼ 4층 옥상공원
여기서 뒷산 약초원으로 이어진다.
▼선조가 승하하자 당시 시의였던 허준은 책임을 지고 의주로 귀양을 가는데
바로 다음해 광해군이 이곳 양촌현으로 보냈다.
광해군 호의로 귀양살이에서 풀려난 몸인지라,
동의보감을 이 석굴속에서 집필 하였다고 한다.
▼ 허가바위
▼ 70대의 고령에도 의지로 동의보감 집필하는 모습.
▼ 박물관 인근의 구암공원.
龜岩은 허준의 호다
▼ 허준 동상
▼ 탑산중학교 뒤 연못과
연못 속에 남아있는 孔岩(공암) 모습
▼ 정선의 그림에 보면 본래 공암이 한강변 탑산아래 있었는데
88고속도로가 생기면서 이렇게 내륙 연목에 갖혀 버렸다.
석촌 호수와 비슷한 처지.
---------------------------------------
▼ 동의보감과 허준 관련 기념관은
경남 산청에도 있다. (산청 한의기념관)
----------------------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